부동산 소식

서울 집값 상승률, 급격한 둔화! 0.12% 증가로 가라앉은 시장 상황!

부윤슬 2024. 9. 26. 14:12

부동산 뉴스 리뷰!

최근 서울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크게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의 변화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9월 4주차(9월 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서 서울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현저히 둔화되었다고 전해졌습니다. 올해 상반기 급등했던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이 지난달 말 이후 점차 상승폭을 줄이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6월 수준의 상승률로 돌아갔습니다. 서울의 매매가 변동률은 0.12% 상승하며, 전주(0.16%) 대비 상승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수도권 전체의 상승률 역시 0.09%로 감소하며, 경기와 인천에서도 상승세가 둔화된 상황입니다.

 

한국부동산원 2024년 9월 4주차(9월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제공=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 2024년 9월 4주차(9월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제공=부동산원

 

2. 지역별 아파트 가격 동향

서울 내에서도 특정 구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송파구는 전주 0.28% 상승에서 0.17% 상승으로 변화하였고, 서초구, 영등포구, 강동구 등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관찰되었습니다. 특히, 강동구의 성내동에 위치한 둔촌역 청구 전용 59㎡는 최근 7억3000만원에 거래되었으며, 이는 이전 거래가격인 8억1000만원보다 8000만원 하락한 수치입니다. 이와 같은 거래가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관악구의 신림동 아파트도 직전 거래가격보다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CSI는 119로 전달보다 1포인트 올랐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CSI는 119로 전달보다 1포인트 올랐다.

 

3. 거래 감소 원인 및 전망

부동산원 관계자는 최근의 거래 감소가 추석 연휴와 가계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분석하였습니다. 가격 상승폭이 컸던 단지들에서 매수인의 관망 심리가 강해지며 전반적인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지방 지역의 경우에도 매매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5대 광역시는 전주 대비 -0.02% 하락, 8개도도 보합세를 유지하는 등 전반적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서울 지역 내에서도 중구, 성동구, 중랑구, 노원구 등에서는 매매가 변동률이 상승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가격 상승폭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결론!

서울 아파트 시장의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가계대출 규제와 같은 외부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수인들의 관망 심리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아파트 시장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 변화가 향후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